지난번에 소개한 밸런스 연습을 좀 해보셨나요? 밸런스 연습은 확실하지만 효과가 느리니 인내를 가지고 꾸준히 하도록 하세요. 이번 주에는 주말 필드에 나가셔서 활용할 수 있는 몇 가지를 말하려고 해요. 또 ‘뻔한 이야기한다’ 뭐 그런 생각 마시고 마음 속에 한번 꼭 담아두세요.
성공확률 낮다면
무리한 샷은 금물
안전한 보기 선택이
훌륭한 전략
지금 필드에 서 있다고 생각해보세요. 반드시 파를 잡아야 하는 상황인데 드라이버 샷이 러프에 푹 박혔다고 말이죠. 이럴 때 세컨 샷을 하기 전 뭘 하시나요?
대부분 남은 거리에 맞춰 클럽을 들고 볼 뒤에서 방향을 잡고 스탠스를 하시겠죠. 볼 뒤에서 방향을 잡고 스탠스를 취했고 연습스윙도 몇 번 했으니 프리 샷 루틴을 한 거 아니냐고요? 뭐, 나름대로 프리 샷 루틴을 하시긴 했는데 왠지 시늉만 한 거 같죠.
다 아시다시피 샷을 하기 전 일관되게 하는 동작을 프리 샷 루틴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기계처럼 하면 아무 의미가 없어요. 꼼꼼하게 정확한 순서에 따라 해야만 샷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답니다.
그냥 볼 뒤에 한번 서보는 것으로 방향을 잡았다고 생각할 것이 아니라 볼이 놓인 지점에서 목표까지를 잇는 가상의 선을 아주 구체적으로 마음 속에 그려봐야 하구요, 볼이 놓인 지점의 라이, 즉 땅의 기울기 등 상태와 스탠스를 취했을 때 볼과 몸의 위치 등을 상세히 파악해야만 합니다. 라이와 스탠스에 따라서 구질과 탄도 등이 변하기 때문이죠. 만약 볼이 날아갈 선을 그려봤을 때 장애물이 가려져 있어 드로우나 페이드 또는 로우 볼을 구사해야 하는 데 라이가 좋지 못하다면 다른 방법을 빨리 찾아야 하겠죠.
또 살펴야 하는 것은 바람입니다. 볼을 높게 혹은 낮게 보내는 것은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이 모든 상황을 판단한 뒤 도우미에게 실제 거리를 묻고 거리와 이전에 파악한 상황을 조합해 클럽을 선택해야만 합니다. 프로 선수들은 멋진 샷이 아니라 미스 할 확률이 가장 적은 샷을 하기 위해 채를 고르죠.
예를 들어 볼 게요. 주로 드로우 볼을 치는 골퍼가 왼쪽 도그레그 홀에서 티 샷을 왼쪽 러프에 떨궜습니다. 위에 말씀 드린 순서대로 샷을 결정해 보죠. 볼 있는 지점으로 걸어가면서 이상적인 비구선(볼이 날아가는 선)을 그려보니 왼쪽 나무숲에 깃대가 가려져 드로우 볼을 쳐야 합니다. 그런데 볼이 놓인 곳을 보니 발끝 내리막 라이에 볼이 반쯤 풀에 잠겨 있구요, 바람은 살짝 맞바람인데 세기가 한 클럽 정도 더 길게 잡아야 할 것 같습니다. 깃대까지는 약 170야드.
여러분의 선택은 어떻습니까? 대부분 5·6번 아이언으로 드로우 샷을 치려고 하시겠죠.
하지만 여기서 잠깐만, 한번 더 생각해보죠. 발끝 내리막은 평소대로 샷을 하면 페이드 혹은 슬라이스가 납니다. 또 볼이 반쯤 러프에 잠겨 있으니 웬만한 힘으로는 평소 같은 드로우 샷을 낼 수 없고 해낸다 해도 평소보다 반 클럽 정도는 거리가 짧아지죠. 또 맞바람으로 한 클럽 정도 길게 잡아야 한다니 결과적으로 185야드의 샷을 해야 되는 셈입니다.
이렇게 되면 클럽은 3·4번 정도를 좀 짧게 쥐어야 하는데 이 때는 샷의 탄도가 낮아져 나무의 높이를 다시 계산해야 한답니다. 복잡하죠?
이럴 때는 차라리 한 타 감수하고 짧은 클럽으로 안전한 지점까지 볼을 보낸 뒤 다음 샷으로 승부를 거는 것이 현명합니다. 그렇게 해서 파 세이브하면 ‘완벽(Perfect)’하구요 보기를 한다고 해도 ‘훌륭(Good)’합니다. ‘굿 보기(Good Bogey)’라는 말은 바로 이럴 때 쓰는 거죠.
결론은 샷 하기 전 신경을 집중해서 주변 상황을 살피되 성공확률이 70% 이상이 아니라면 일단 페어웨이로 볼을 빼내는 것이 훌륭한 전략이라는 것입니다.
<서울경제 특약>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