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로즈업] 영화 ‘우리집에 왜 왔니’ 강혜정
’사랑하는 남자 스토킹’ 독특한 역할 매력… 스무살 때 인연 황수아 감독과 작업 의의
타블로는 4차원? 참 착하고 따뜻한 연인… 박찬욱 감독과 흥행대결 별문제 없을걸요
배우 강혜정은 침착했다. 개봉을 앞둔 영화 <우리집에 왜왔니>(감독 황수아ㆍ제작 어거스트)가 은인이나 다름없는 박찬욱 감독의 신작과 흥행 대결을 벌이는 것에 대한 부담부터 공개된 연인인 가수 타블로에 대한 얘기까지 거침없이 쏟아냈다.
타블로과 관련된 질문에 대해 그 부분에 대해서는 노코멘트할게요고 답해 머쓱해 하는 기자를 보곤 이렇게 말할 수도 있겠죠? 하지만 저는 있는 그대로 말하고 싶어요라고 배시시 웃었다.
▲<우리집에 왜왔니>의 주인공 수강은 굉장히 독특한 캐릭터다. 실제 성격도 ‘4차원’은 아닌가?
=저요? 전 굉장히 현실적이에요. 이번에는 캐릭터보다 황수아 감독님과 함께 작업한다는 데 의의가 있었어요. 스무 살 때 처음 알았는데 이제서야 감독과 배우로 다시 만나게 됐어요.
▲수강은 한 남자를 미치듯이 사랑하고, 무작정 찾아 들어간 집에서 또 다른 남자를 감금하기도 한다. 이런 특이한 역할을 소화하기 위해 참고한 영화나 캐릭터가 있는가?
=특별히 염두에 둔 건 없어요. 다른 누구의 연기를 기본으로 삼는 건 체질에 맞지 않아요. 저는 특별히 연기 훈련을 받은 적이 없어서 스스로 캐릭터를 해석하는 편이에요. 음… 제작사는 일본 영화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을 참고하는 동시에 가장 경계해야 하는 영화로 꼽았어요.
▲영화 <올드보이><웰컴투동막골> 등에서 범상치 않은 캐릭터를 연기했다. 이번도 마찬가지다. 이미지가 굳어진다는 부담은 없는가.
=저를 ‘세게’ 보는 시선이 많은 것 같아요. 그냥 ‘남들은 그렇게 생각할 수 있겠구나’ 싶어요. 관점에 따라 굉장히 일상적인 것도 색다르게 보일 수도 있지 않을까요. 저는 그저 호기심을 자극하는 시나리오를 선택하려 해요.
▲<올드 보이>의 박찬욱 감독의 작품이 같은 달에 개봉된다. 어떻게 될 것 같은가.
장르가 너무 달라 별개의 문제라고 생각해요. 사실 저는 <박쥐>가 굉장히 보고 싶어요. 아마 박찬욱 감독님도 <우리집에 왜왔니>를 보고 싶으실 거예요.(웃음)
▲<올드 보이>가 강혜정의 연기 인생을 바꾼 작품이라는 건 인정하나.
=그럼요. <올드 보이>에 출연한 이후에는 영화에 출연하기 위해 일일이 오디션을 보러 다니지 않아도 됐으니까요. 박찬욱 감독님께 항상 감사해요. 얼마 전에는 제 생일에 밥도 사주시고 선물도 주셨어요.
▲이번 영화에서 그룹 빅뱅의 승리와 호흡을 맞춘다. 짓궂은 질문 하나 하겠다. 빅뱅 중 누구를 가장 좋아하나.
=음… 승리요! (웃으며)이렇게 말해야겠죠? 사실 개성이 제각각이어서 누구 하나 콕 집을 수가 없어요. 다섯 명 중 누구 하나가 빠지면 빅뱅이 아닐 것 같아요. 승리와는 그가 출연한 뮤지컬 <소나기>을 관람한 후 친해졌죠.
▲인터뷰 오기 전 미니홈피에 들어가 봤다. 타블로 얘기가 더 많은 것 같다. 누구의 미니홈피인지 구분이 안 되더라.
=잘 됐으면 좋겠어요. 아니 이미 잘 된 것 같아요. 저는 다 들어봤거든요.(타블로의 새 앨범은 오는 27일 발매된다) 어떻게 이런 곡을 만들 생각을 했는지… 정말 미친 것 같아요. 그가 작곡한 <1분1초>를 보며 어떤 사람인지 궁금해졌을 정도죠. (고개를 가로저으며) 이번 앨범은요. 아… 정말 말로 다 못해요.
▲혹시 타블로의 앨범 발표 쇼케이스에도 올 계획이 있는가?
=(웃으며)저도 바쁘거든요! 영화 개봉이 얼마 안 남았다고요.
▲보통 연예인들은 교제 사실을 숨기려 한다. 이렇게 공개한다는 것이 부담스럽지 않나.
=제가 하는 얘기들로 그 사람이 감동받을 수 있으면 좋겠어요. 저는 그가 공개적으로 하는 얘기들에 감동받았거든요. 서로 이해하고 믿기만 하다면 주변에서 어떤 얘기를 들어도 상관없어요.
▲타블로가 독특한 인물이라는 소문이 있던데 어디가 그렇게 좋은가?
=그 사람이 특별한 건 사실이죠. 4차원에 사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참 자상하고 착하고 따뜻한 연인이에요. 그리고… 훌륭하고 우수한 아티스트죠.
▲강혜정에게 꿈이 있다면?
=1년 정도 파리에 살고 싶어요. 한 때 프랑스로 넘어가려 한 적도 있어요. 파리에 갔을 때 느낀 기억이 너무 좋았거든요. 아침에 발코니에서 밖을 내려다 보던 감정을 잊을 수도 없어요. 간다면 혼자 가진 않겠죠.
▲인터뷰를 마무리할 시간이 됐다. 꼭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저는 인터뷰 내용의 70%가 타블로에 대한 이야기로 채워져도 좋아요. 하지만 꼭 부탁드리고 싶은 게 있어요. 인터뷰 기사의 제목만큼은 영화에 관련된 얘기였으면 좋겠어요.(웃음)
스포츠한국 안진용기자 realyong@sportshankook.co.kr
사진=이춘근기자 bestime@sportshankook.co.kr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